아일라 서교
home
공간
home
📗

문학 북클럽 ㅣ 사랑과 상실에 대하여

일정
3/22 토요일 오후 2시
4/19 토요일 오후 2시
5/24 토요일 오후 2시
장소
참여 인원
7명
비용
아일라 멤버-무료
비멤버-1회차 30,000원 (모임 당일, 아일라 일일권이 함께 제공됩니다)

| 호스트 소개 - 오은진님

공식처럼 딱딱 떨어지는 문법이 좋아 국어국문학과에 들어간 뒤, 우연히 듣게 된 비평 수업에서 문학의 매력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전엔 문학이 갖는 모호함이 싫었는데, 이젠 문학이 가진 여백에서 숨 쉴 틈을 찾습니다.
문학에 빠지게 된 이후로 같은 멤버들과 5년째 독서모임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해당 모임 외에도 몇몇 독서 모임을 기획하고 운영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이번에 기획한 모임은 사랑과 상실에 관한 것인데요, 첫 이별을 겪은 뒤, 부쩍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이 늘었습니다. 사랑과 상실, 미련과 아쉬움에 대해 곱씹는 날이 많습니다.
이번 모임을 통해 함께 읽고 쓰며 남은 감정의 잔여물을 걷어내고 싶습니다.

| 모임 소개

한 달에 1권, 총 3권의 책을 함께 읽습니다. 선정 기준은 제게 사랑에 관한 인사이트(?)를 주었던 소설입니다.모임의 기본 형식은 한 달에 한 권씩 책을 읽고, 짧은 에세이를 쓴 뒤 모여서 책에 관한 생각을 짧게 나누고, 써온 글을 함께 음독하며 생각을 나눕니다. 단, 미리 정해진 주제로 글을 쓰되, 매달 작은 미션이 있습니다.

| 회차 소개

첫번째 모임ㅣ 황정은 <백의 그림자>

3월 22일 토요일 오후 2시-4시
제가 2010년대 이후 소설을 읽기 시작한 계기가 된 책입니다. 세상에 사랑 이야기는 많지만, 그 이야기가 뻔하지 않으려면 특별한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百의 그림자>는 표면적으로는 은교와 무재의 사랑이야기이지만, 그들을 둘러싼 현실과 세상의 폭력성을 드러내는 소설이기도 합니다.
한 사람의 세상과 맥락을 알게 될 때, 그 사람을 한층 더 깊게 사랑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백의 그림자>는 제가 관계/사랑의 유토피아를 보여주는 소설이라 첫 책으로 선정했습니다.
함께 나눌 이야기
은교와 무재의 사랑은 언뜻 보기엔 무미건조 합니다. 사랑에 굳이 온도를 매기자면, 여러분의 사랑은 뜨겁나요, 차분한가요?
은교와 무재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나옵니다. 저는 전자상가를 둘러싼 사람들이 서로를 보듬어가며 살아가는 것도 넓은 범위에서 ‘사랑’이라고 생각했어요. 소설 속에서 가장 마음이 가는 대상은 누구였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에세이 주제: 사랑으로 얻은(얻을) 즐거움에 대하여

두번째 모임ㅣ최은영 <내게 무해한 사람>

4월 19일 토요일 오후 2시-4시
이제 조금 더 넓은 의미의 사랑을 이야기해 봅시다. 우정도 사랑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인지라, 어떤 관계든 사랑의 감정은 조금씩 존재한다고 생각해요.그런 의미에서 한때 모두에게 무해한 사람이고 싶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모임에서 말해드릴게요) 하지만 이 소설을 읽고 누군가에게 ‘무해한’ 존재가 된다는 건 관계의 종결과 같다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누군가를 알아가고 또 그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상처를 주지 않을 확률은 아주 낮지 않을까요? (무해라는 의미를 곱씹어 본다면) 아주 조그만 불편함이라도 주는 것도 유해할 수 있으니까요. 어떠한 인간관계가 줄 수 있는 기쁨과 슬픔을 모두 감당할 수 있는 마음이 생길 때 그 사이가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이 틀릴 수도 있죠. 그래서 관계의 무해함이 과연 이로운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어 이 책을 선정했습니다.
함께 나눌 이야기
소설 속 나오는 여러 관계들 중 어떤 사이가 가장 기억에 남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릴 적 맺은 관계의 기억 속에 남는 아쉬움이 있나요? 그 아쉬움을 어떻게 다루셨나요?
에세이 주제: 돌이켜 보니 사랑이었던 것에 대하여

세번째 모임ㅣ 김멜라 <제 꿈 꾸세요>

5월 24일 토요일 오후 2시-4시
이번에는 사랑과 상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며 마주치는 상실에 대해, 특히 관계의 상실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그 형태가 헤어짐이 될 수도, 죽음이 될 수도, 또 다른 것이 될 수도 있갰죠. 여러분이 겪은 상실의 경험을 나눠주실 수 있나요? 사랑의 상실을 어떻게 극복하셨는지, 혹은 극복하고 계시는지, 극복하지 못했는지 함께 이야기 나누고 싶습니다.
함께 나눌 이야기
표제작 “제 꿈 꾸세요”처럼 내가 죽어서 길손이 된다면, 누구의 꿈에 나타나고 싶나요?”
여러분이 겪은 상실 중 가장 아린 상실은 무엇인가요? 나누기 어렵다면, 기억하는 상실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무엇인가요?
에세이 주제: 기억하고 싶은/싶지 않은 것에 대하여
신청하기-아일라 멤버
신청하기-비멤버